top of page

Photosynthate II (2015)

친환경적이고 무한한 태양에너지를 활용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있는 가운데, 텍스타일은 어떠한 접근을 할 수 있을까. 딱딱하고 무거워 큰 규모로만 사용되던 태양전지 대신 에너지 용량은 적지만 좀 더 가볍고 유연하게 실생활에서 사용될 수 있는 유동적인 형태의 태양전지 원단을 리서치 해 보았다. 이 과정에서 햇빛에 반응하여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염료를 얇은 플라스틱 기판에 프린트하는 DSSC(염료감응 태양전지)와 광합성 독립영양생물이 비슷한 시스템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에서 영감을 받아 인간도 광합성이 가능해진다면 어떤 형태일까 라는 질문에서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었다.

Among diverse attempts to tap into eco-friendly and infinite energy of the sun, I wonder how textile could approach the issue. Solar batteries are heavy and hard so that they could only be used in a large scare, and their main material is silicon dioxide, an inorganic semiconductor which costs high energy in processing, not being really sustainable. 

 

As researching about solar cells, I learned that the DSSC(Dye-sensitized solar cell) which applies a dye generating energy from sunlight onto a thin plastic circuit, and photoautotrophy(self-sufficient life form that gains energy from photosynthesis) are similar in terms of systems. Inspired by this finding, I designed textile by inserting the dye and printing it on thin plastic sheets.

필름에 염료를 프린트하는 DSSC 기술을 활용하고, 전지의 회로와 같은 기계적인 요소와 생물세포의 이미지를 조합하여 인간이 광합성을 할 경우 가능한 모습을 디자인했다. 척추는 인간의 가장 상징적인 뼈대이며, 등은 방해 없이 태양광을 받아 활용하기에 적합한 위치라고 생각했다. 척추의 형태와 움직이는 방식에 영감을 받아 각각 분리될 수 있지만 가운데를 중심으로 연결되어 등을 따라 부드럽게 흐르는 형태로 만들었다.

I designed how human beings could photosynthesise by using the DSSC technology of printing the dye on a film and combining the mechanical elements of cell circuit and the image of biological cells. I thought that the spine was the most symbolic skeletal structure of human being, and the back was an appropriate part for receiving sunlight without obstruction. Inspired by the shape of the spine and the way it moves, I created this design in which the parts could be disassembled but are connected to the centre, flowing down the back.

meeya_12983_3 (1).jpg

기획, 연출, 디자인, 작품제작: 고은혜

사진촬영·편집: Meeya Kim

meeya_12905_2 (1)디테일.jpg
q9.jpg
meeya_12905_2 (1).jpg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