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기획, 연출, 디자인, 작품제작: 고은혜

사진촬영·편집: Meeya Kim

Photosynthate I (2015)

친환경적이고 무한한 태양에너지를 활용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있는 가운데, 텍스타일은 어떠한 접근을 할 수 있을까. 딱딱하고 무거워 큰 규모로만 사용되던 태양전지 대신 에너지 용량은 적지만 좀 더 가볍고 유연하게 실생활에서 사용될 수 있는 유동적인 형태의 태양전지 원단을 리서치 해 보았다. 이 과정에서 햇빛에 반응하여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염료를 얇은 플라스틱 기판에 프린트하는 DSSC(염료감응 태양전지)와 광합성 독립영양생물이 비슷한 시스템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에서 영감을 받아 인간도 광합성이 가능해진다면 어떤 형태일까 라는 질문에서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었다.

Among diverse attempts to tap into eco-friendly and infinite energy of the sun, I wonder how textile could approach the issue. Solar batteries are heavy and hard so that they could only be used in a large scare, and their main material is silicon dioxide, an inorganic semiconductor which costs high energy in processing, not being really sustainable. 

 

As researching about solar cells, I learned that the DSSC(Dye-sensitized solar cell) which applies a dye generating energy from sunlight onto a thin plastic circuit, and photoautotrophy(self-sufficient life form that gains energy from photosynthesis) are similar in terms of systems. Inspired by this finding, I designed textile by inserting the dye and printing it on thin plastic sheets.

낮에는 햇빛을 받아 에너지를 생성해내고 밤에는 그 에너지로 스스로 빛을 내는 광합성 독립영양생물에서 영감을 받았다. DSSC의 염료를 프린트하는 방식 대신 염료를 호스에 삽입하는 형태로 활용하였다. 이것을 fiber로 써서 니트를 짜면 기존의 딱딱한 태양전지보다 유연하기 때문에 다양한 매체에 적용될 수 있는 새로운 원단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I was inspired by photosynthetic autotrophs that generate energy from sunlight during the day and shine themselves with that energy in the night. Instead of printing the DSSC dye researched earlier, I used the dye by inserting it in the hose. Using this as fibre for knitwear would allow more flexibility than the existent rigid solar cells, and hence could be used as a new fabric that could be applied to diverse media.

합침.jpg
bottom of page